어디에서나 바로가기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메뉴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1 키이고, 부메뉴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2 키이고, 본문 이동은 알트 키 플러스 3 키입니다. 알트 키 플러스 J 키는 일반모드와 텍스트모드로 전환합니다.

현재위치
  1. HOME
  2. >장례정보
  3. > 장례정보

본문 영역

상,장례절차

상,장례절차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준비

임종

1일차

장례준비

수시 발상 부고

2일차

염습 성복

3일차

발인 및 운구 장례후 의례

사후관리

※임종 준비 : 임종은 운명할 때 곁에서 지켜보는것

집에서의 임종준비 : 천거정침(遷居正寢)

  • 1
    병세가 위중하면 안방이나 거처하던 처소로 옮겨 편하고 바르게 눕힌 후 깨끗한 새 옷으로 갈아 입힌다.
  • 2
    안팎을 정숙히 하고 깨끗이 청소한 후 환자의 마음을 편안하고 소리내어 울거나 곡을 하여 환자의 마음을 산란하게 하지 않도록 한다. 
  • 3
    평소에 보고 싶어하던 사람이나 가족을 모이도록 한다.
  • 4
    말을 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하고 싶은 말씀(혹은 유언)을 하도록 하고, 중요한 경우 적거나 녹음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 5
    종교가 있는 경우 각 종교에 따라 성직자를 모시거나 경전이나 성가를 준비하여 환자가 편안하게 하고 속광(=속굉)을 한다. 
    즉, 임종을 맞을 준비를 하는 것이다.


병원에서의 임종준비 

요새는 돌아가실 무렵 병원으로 옮겨 병원에서 임종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병원에서의 임종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기로 한다.

  • 1
    병원에서는 천거정침이나 속광(속굉)의 절차를 거치지 않게 되나, 그 외는 집에서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 2
    종교적 임종의례를 행할 때는 병원의 다른 환자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용히 행하도록 한다.
  • 3
    임종 후 가족이 눈을 감겨 드릴 수 있으며, 그 후는 상조회사의 장례지도사와 상의 후 고인을 안치실에 모신다.

장례관련 용어- 복(復) = 초혼(招魂)이라고도 한다. 
사잣밥 - 작은 상에 밥, 신발, 동전 등을 셋 씩 차려 집밖에 놓아두는 것으로 종교에 따라 차리지 않는 경우도 많다.


1일차 : 장례준비

사망진단서

호상선정

장례방법,장례용품 선정

접대준비

  • 1
    사망에 따른 진단서 및 인우증명서 발급.
  • 2
    매장이나 화장 시 절차 장례를 전반적으로 이끌어 나갈 호상 선정.
  • 3
    종교적인 의례에 따른 장례방법 장례용품의 선정.- 손님접대 등의 준비를 한다.


수시

  • 1
    수시란 시신을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수족(手足)을 골고루 주물러 굽힘이 없이 바르게 펴고 묶어 주는 절차를 말한다. 환자가 무릎이나 다른 부위가 굽어진 상태로 운명하였을 경우 수의를 입히거나 입관시킬 때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임종 후 바로 반듯이 해주어야 한다. (설치철족)
  • 2
    임종을 맞이하면서 탈지면, 붕대나 끈(면이나 베, 또는 종이도 가능), 홑이불 등을 준비하여 운명 후의 수시에 대비한다.
  • 3
    준비물 : 수건,환자용 기저귀,수시복, 탈지면, 끈, 홑이불, 병풍, 상, 촛대(초), 향로(향), 사진


발상

  • 1
    초상(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것)이 났음을 알리고 장례준비를 하는 것이다.
  • 2
    수시가 끝난 후 검소한 옷차림을 하고 ‘근조(謹弔)’라고 쓴 등이나 ‘상중(喪中)’, ‘기중(忌中)’이란 글을 대문에 붙여 상이 났음을 알린다. 


부고

가까운 친척과 친지들에게 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으로 호상이 상주와 의논하여야 하며, 사망 시 및 장소, 발인 일시, 발인장소, 장지, 상주와 상제 등을 기록한다.


2일차 : 염습,성복

염습 - 수의

  • 1
    수의의 재질: 삼베, 명주, 면(혹은 인견), 한지 등
  • 2
    수의의 품목
    남자수의: 심의나 도포, 두루마기, 저고리와 적삼, 바지와 속바지, 복건, 행전 등
    여자수의: 원삼이나 두루마기, 저고리와 적삼, 바지와 속바지(단속곳), 치마와 속바지
  • 3
    여모공용수의: 명목, 악수, 버선, 신, 오낭, 이불(소렴금, 대렴금)천금, 지요, 베개,포(요사이는 염포)등


염습의 순서

  • 1
    습(襲): 고인을 닦아드리고 옷을 입혀 드리는 과정. 
  • 2
    소렴(小斂): 수의를 입힌 시신을 의금(衣衾)으로 수렴한다는 뜻으로, 이불(소렴금이라고도 함)로 싸서 염포로 단단히 묶는 것이다. 
  • 3
    대렴(大斂): 시신을 관속에 입관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포로 싸서 들어서 입관시키기도 하나, 요사이는 관속에 염포를 깔고 요를 깐 후 시신을 옮긴 후 천금을 덮고 염포를 덮은 후 보공을 하고 관 뚜껑을 덮은 후 명정과 관보를 씌우기도 한다. 영좌(靈座)를 설치하고 혼백(魂帛)을 둔다. 요사이는 사진으로 대신하는 것이 상례(常禮)이다. 


성복(成服) 준비물 : 상복,성복례 지낼 제수용품 

  • 1
    상복: 예전에는 복친의 범위에 따라 착용하는 상복의 종류도 다르고 다양하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주로 남자는 검은 양복, 여자는 흰색이나 검은 색의 한복을 많이 착용하고 있으나 검은색 양장을 하기도 한다. 또한 상주임을 표시하는 표식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평소에 준비해둔 상복이 있으면 착용하기도 하며, 베로 만든 굴건제복(남자)이나 대수장군(여자)을 착용하기도 한다. 
  • 2
    성복례: 대렴이 끝나고 나서 상주들은 상복을 입고 제물을 차리고 자손이 상주가 되었음을 고하는 성복례를 지내게 되며, 이때부터 조문객을 받게 된다. 입관 후에는 아침저녁 끼니에 밥, 국, 적, 반찬등의 밥상차림으로 상식을 올린다. 
  • 3
    상주: 상복을 갖추어 입고 빈소를 찾는 손님을 맞이하도록 하며, 애통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예를 올리고 빈소를 지킨다.
  • 4
    조문: 원래는 죽은 사람에게 예를 표하는 조상(弔喪)과 상주에게 예를 표하는 조문(弔問)의 뜻이 있으나, 요사이는 죽은 사람에게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 하는 뜻으로 둘을 구분하지 않고 문상(問喪)으로 사용되고 있다.친척이나 가까운 사람들이 상을 당했을 경우는 빠른 시간 내에 가서 정신적인 위로와 함께 장례에 관한 도움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의에 맞는 옷차림을 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정중하게 애도를 표시한다. 물건이나 부의금, 상주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 등을 준비하기도 한다.


3일차 : 발인 및 운구 장례후 의례

발인 및 운구

  • 1
    발인식: 망자가 집을 떠날 때 관 앞이나 영구차 앞, 장례식장에서 행하는 의식이다. 제물을 차려 놓고, 종교에 따라 재물을 생갹하기도 하나 일반적인 순서 는 개식, 각 종교에 따른 의례, 약력소개, 종교의례, 추도, 분향 헌화폐식의 순으로 진행한다. 
  • 2
    운구: 관을 들고 나가는 것이다. 종교에 따라 영정이 앞서는 등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행렬의 순서는 먼저성직자 및 성물을 든 사람이 인도하고, 사진이나 영정, 영구, 상주, 친척, 조문객의 순으로 뒤를 따른다. 노제, 하관, 평토, 봉분의 시기에 따라 의례를 행하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한다. 
  • 3
    화장일 경우관을 인도하여 화장장까지 와서 화구(火口)에 모시면서 제사를 지내거나 각 종교에 따른 의례를 행한다. 다 타고나면 유골을 수습하여, 쇄골(碎 骨:유골을 분쇄하는 것) 을 하여 산골(散骨: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것) 하거나 납골당 등에 봉안하게 된다. 


장례후 의례 

매장이나 화장으로 장례를 지내고 돌아와서 반혼제나 초우제, 재우, 다음날 아침에 지내는 삼우제(요사이는 장례를 치른 후 3일째 되는 날에 주로 지내고 있다)를 지낸다.졸곡, 소상, 대상, 담제, 길제가 행해지기도 하나, 요사이는 49일이나 100일에 탈상을 하는 경우가 많다. 종교에 따라 다른 의례를 행하기도 하고 생략하기도 한다.